본문 바로가기
벼락거지 탈출기

주식시장 전망 10월을 매수기회로 삼아야 하는 이유는?

by Love Your Life 2021. 10. 11.
728x90
반응형

최근 국내, 해외 가릴 것 없이 주식시장이 폭락하고 있다. 이 것은 몇 가지 요인으로 분석되는데 첫 번째로는 10년 물 국채금리가 가파르게 상승하였다. 그리고 국채 금리와 더불어 중요한 미국 경기 지표 중 하나인 일자리 보고서에서 안 좋은 결과가 나왔기 때문이다.

 

 

우선 미국 10년 물 국채금리는 1.6%로 상승하였다. 이 것은 지난 6월 4일 이후에 최고로 높은 금리를 말한다. 금리가 높으면 시장의 유동성 축소를 의미하는 것이고 유동성 축소는 시장의 축소를 의미하기 때문이다. 현재 높으면 떨어질 일만 남은 것이 아니냐 라는 생각을 할 수 있지만 현재 테이퍼링과 기준금리 인상이라는 이벤트가 남은 것을 볼 때는 국채금리는 아직도 저점이라는 생각이 든다. 

 

매월 보고서가 나오는 미국의 일자리 보고서에서는 예상보다 훨씬 안 좋은 결과가 나왔다. 코로나 시대를 벗어나서 이제 사람들이 많은 경제활동을 하여서 소득을 가지고 소비를 하여야 건전한 경제성장이 나오는데 이번 9월에 50만 이상 취업할 것으로 예상했으나 기대 치의 절반밖에 나타나지 않는 20만이라는 결과를 얻었다. 물론 실업률은 4.8%까지 떨어져 거의 완전 고용 수준까지 왔고 기업 고용이 33만 개나 늘어나서 완전히 안 좋은 결과만을 얻은 것은 아니다. 2016년과 비슷한 수준에 왔다고 생각하면 된다.

 

FED는 금리와 구직률을 주목하고 있었는데 점차적으로 회복하는 단계라고 보고 있는 것이다. 회복 단계가 되면 테이퍼링이라는 국채 매입을 줄이거나 중단하는 행위를 할 것이다. 그러면 금리가 더 올라가고 더 오른 만큼 유동성은 축소를 가져온다. FED는 사실 물가를 지키는 최종적인 수호자로 인플레이션 수치가 자신들이 정한 수치까지 오르거나 계속적으로 2% 이상의 상승을 가져올 때 테이퍼링이라는 카드를 내밀 것인데 현재 수치만으로 봤을 때는 그 시점이 멀지 않았다는 것이다. 

 

그에 발맞추어 모건스탠리에서는 앞으로 더 10~20% 폭락하는 시장이 올 것이라고 예상하고 있다. 첫 번째로는 성장 둔화이고 두 번째는 앞서 말한 테이퍼링을 원인으로 꼽고 있다. 실질 금리가 올라가면 상대적으로 반비례하는 주식 가격은 떨어질 수밖에 없으며 그중에서도 미래가치를 가장 먼저 반영한 성장주가 그 타깃이 될 것이라는 것이다. 다만 금리인상에 수혜주라고 할 수 있는 가치주 들은 상승 할 수가 있겠다. 대표적으로 헬스케어, 필수소비재, 금융주라고 할 수 있겠다. 

 

지금까지 이야기만으로 봤을 때 왜 10월에 최대의 매수 기회인지 모를 것이다. 10월의 매수 기회는 바로 통계학 적인 차트가 말하는 것이다. 앞서 말한 주식시장의 하락에 대한 이벤트는 실제로 언제부터 떨어질 것인지 언제까지 떨어질 것인지 아무도 예측할 수가 없다. 금융시장이나 부동산 시장 같은 필수로 보호해야 할 시장에 대해서 FED는 충격을 주고 싶어 하지 않기 때문이다. 

 

반응형

 

Mad Money CNBC의 금융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Jim Cramer는 지난 100년간 차트를 분석해보았다. 사실 거시적 이벤트 분석도 중요하지만 기술적 분석이라는 차트 분석도 주식투자에 있어서 상당히 중요한 요소 중에 하나이다. 이 차트 분석 결과 대부분의 차트에서 9월은 1년 중에 가장 시장이 약한 달이며 10월에 가장 좋은 매수 기회가 일어났다는 것이다. 정확히 10월 29일쯤부터 시작하여 다시 랠리가 시작되었다고 한다. 물론 맹신은 금지이다. 기술적 지표는 상당히 좋다는 것이다.

 

그리고 10월이 의미 있는 것이 전 세계적으로 백신 접종률이 높아져 10~11월이며 위드 코로나 또는 코로나에서 벗어날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경구치료제가 활발히 개발 중에 있으며 코로나가 끝나는 순간 다시 활발한 경제활동으로 인해 경기가 다시 부양할 것이라는 예상이 여기저기에서 나오고 있다. 주식은 미래가치에 대한 현재의 판단이기에 이 정도 앞선 예상은 충분히 할 수가 있다. 

 

결론적으로 거시적으로 성장주들이 다시 한번 떨어질 이벤트들이 존재하고 있지만 가치주와 같이 성장주도 10월에 매수를 하게 된다면 괜찮은 수익을 예상할 수 있을 것이다. 혹시 그동안 현금을 보유하고 있었다면 10월 중순부터 시작하여 낙폭 과대 종목을 발굴하여 투자해보는 것도 나쁘지 않은 전략이라고 생각한다. 

 

해당 포스트는 매수, 매도의 권유가 아니며 투자 책임은 어디까지나 투자자 본인에게 있음을 알립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