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73 인플레 시대, 나만의 자산관리 전략은? - 인플레이션 높을 때 투자법 인플레이션은 상품과 서비스의 일반적인 가격 수준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얼마나 상승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척도이다. 물가상승률이 높을 때는 생활비가 늘고 돈의 가치가 떨어진다는 뜻이다. 이것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서 투자 심리를 위축시킬 수 있기 때문에 모든 투자자들에게 큰 걱정거리로 남아있다. 그러나 높은 인플레이션의 부정적인 영향으로부터 우리 자산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몇 가지 전략을 세워보도록 하겠다. 인플레이션은 언제 어디서나 화폐적 현상이다. - 밀턴 프리드먼 1. 인플레이션 강세인 투자 자산 인플레이션이 높은 기간 동안 오르는 경향이 있는 자산에 투자한다. 이러한 자산에는 금, 석유와 같은 원자재 상품이 포함된다. 기업들이 종종 더 높은 비용을 소비자에게 전가할 수 있고, 이는 더 높은.. 2022. 12. 24. 고금리 시대 투자 할 수 있을까? 내년 부동산 전망을 예측해보자 그야말로 고금리 시대를 살고 있다. 필자는 예전부터 고물가 저성장을 예상하고 그에 따라서 투자를 준비하고 있었다. 그렇다면 다음 방향은 어떻게 될지 감히 예측해 보겠다. 당연히 예측인 만큼 이러한 의견도 있구나 하고 받아줬으면 좋겠다. 특히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가장 많은 투자를 하고 있는 부동산! 내년 부동산 전망을 살펴보자. 2023년 부동산의 향방은 경제 상황, 기업 실적, 글로벌 이벤트 등 다양한 요인에 좌우될 것이기 때문에 예측하기 상당히 어렵다. 그러나 필자가 몇 가지 사안을 보면서 감히 예측해 보겠다. 내년에 부동산 시세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몇 가지 이벤트를 생각해 보자. 1. 기술 성장 주목해야 할 한 가지 이벤트는 소위 기술주라고 불리는 혁신을 이끄는 기업들의 지속적인 성장이다. 부동산.. 2022. 12. 23. 집값전망, 너무 암울합니다. 계속 금리인상 하는데 어떻게 해야될까요? 뉴스, 신문, 유튜브 등 여러 매체에서 암울한 집값 전망을 내세우고 있다. 대출금리도 올랐고 앞으로도 더 오를 건데 이대로 진짜 괜찮을지 걱정도 많이 된다. 그런데 사실 저가매물은 공급이 많지 않고 분양가가 계속 올라서 반대의견도 만만치 않게 많이 나오고 있는 실정이다. 부동산 시장이 앞서가고 있는 미국을 먼저 보자면 평균적으로 대도시 기준 평균 600,000 dollars 정도면 있으면 진짜 딱 1인 가구 살 정도의 집만 얻을 수가 있다고 한다. 더 재밌는 것은 뉴욕, 샌프란시스코 제외 평균 가이며 뉴욕, 샌프란시스코는 이 가격에 구할 수도 없다. 2021년 대출금리가 0.6%였다. 주택담보대출 황금기로 인해서 대도시에서는 수요가 몰려 2년 사이에 2.5배 이상 집값이 급증해버렸다. 이제는 신규 진입자.. 2022. 10. 21. 인플레이션 고금리 시대인 지금 어떻게 투자해야 될까? (feat. 채권 투자, 예적금 풍차돌리기) 오랜만에 포스팅을 하는 것 같다. 개인적으로 NFT에 시간적으로나 금전적으로 투자를 많이 하였다. 새롭게 시작하는 분야라 그런지 큰 도움이 되지 못한 것 같지만 그래도 경험을 많이 쌓을 수 있었다고 스스로를 위로해 본다. 그런데 사실 마지막 포스팅이었던 "달러에 투자해라"라는 포스팅 이후에 달러 이상의 투자 상품이 없었다. (생각해보니 원자재가 있었구나) 인플레이션, 고금리 시대에 주식을 필두로 모든 자산이 연신 폭락 중이었기 때문이다. 달러가 오르면 모든 자산은 죽는다고 보면 된다. 심지어 달러는 헷지 할 대상도 마땅히 떠오르지가 않는다. 결국 국내 자산으로만 구성한 포트폴리오 투자자들은 이중고를 겪고 있다. 여하튼 잡설을 줄이고 다시 필자가 돌아와서 오랜만에 블로그 쓴 이유는 간단하다. 이제 달러 이.. 2022. 10. 19. 이전 1 2 3 4 5 6 7 8 ··· 19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