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야말로 고금리 시대를 살고 있다. 필자는 예전부터 고물가 저성장을 예상하고 그에 따라서 투자를 준비하고 있었다.
그렇다면 다음 방향은 어떻게 될지 감히 예측해 보겠다. 당연히 예측인 만큼 이러한 의견도 있구나 하고 받아줬으면 좋겠다.
특히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가장 많은 투자를 하고 있는 부동산! 내년 부동산 전망을 살펴보자.
2023년 부동산의 향방은 경제 상황, 기업 실적, 글로벌 이벤트 등 다양한 요인에 좌우될 것이기 때문에 예측하기 상당히 어렵다. 그러나 필자가 몇 가지 사안을 보면서 감히 예측해 보겠다. 내년에 부동산 시세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몇 가지 이벤트를 생각해 보자.
1. 기술 성장
주목해야 할 한 가지 이벤트는 소위 기술주라고 불리는 혁신을 이끄는 기업들의 지속적인 성장이다. 부동산 시세는 결국 세계 유수의 기술 기업들의 발전에 달려있다. 낙수효과를 믿지는 않지만 기술의 발달이 경제 발달로 이루어지는 것은 사실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혁신적인 기술 제품과 서비스에 대한 수요는 앞으로도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이는 나스닥의 전반적인 실적을 끌어올릴 수 있다.
그런데 내년도 기술선도 기업들은 어떤 것을 준비하고 있는가?
거의 대부분의 나스닥 기술주들은 내년도에 정리해고를 준비 중에 있다. 공격보다 방어이며 발전보다 유지라고 생각할 수 있겠다. 그렇다면 내년도 기술 발전은 크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며 그에 따른 경제효과도 미비하다. 그럼 부동산 시세는 오르기는 힘들며 최선의 결과가 나와봐야 현상 유지라고 할 수 있겠다.
2. 금리의 방향
금리가 부동산에 미치는 영향도 고려해야 할 요소다. 금리가 오르면 투자자들에게 부동산 투자에 대한 매력이 떨어져 부동산 시세 하락으로 이어질 수 있다. 반면 금리가 낮은 수준을 유지하거나 하락할 경우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다. 그렇다면 내년도 금리는 어떻게 될 것인가?
미금리가 각국 금리에 미치는 영향은 절대적이다. 2023년 연준 내 금리 예측은 5.25%인데 아무래도 연준 목표인 물가지수 2%를 맞추려면 5% 이상이라는 의견은 절대적이다. 물론 빠르게 물가가 잡히거나 급격한 경기침체를 맞이할 경우 금리 인하의 가능성도 있지만 아주 드문 확률이라고 할 수 있겠다.
내년도 금리 상황을 보면 부동산 시세에 최대 악재라고 할 수 있겠다. 특히 지금 한국과 미국의 금리차 역전현상이 있어서 외화 유출이 심한 이때에 내년도에는 가파른 한국 금리 인상이 예견되고 있어서 불안한 실정이다. 가계부채 특히 대부분이 변동 금리 부동산 담보대출인 만큼 0.5% 인상만 되어도 견디기 힘든 수준일 텐데 걱정이 앞선다.
3. 글로벌 이벤트
마지막으로 지정학적 사건과 글로벌 경제 상황도 부동산 시세의 방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역 긴장이나 중국이나 유럽과 같은 주요 시장의 경기 침체는 부동산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다시 시작된 신냉전시대처럼 보인다. 이제부터 미국과 중국의 필두로 보호무역의 시작이라고 할 수 있겠다. 양보보다는 협박으로 시작된 무역전쟁이 이제 막 시작되었다. 이러한 시기에 우리나라는 어떠한 위치에 있을까? 최근 반도체, 전기차, 2차 전지 등 우리나라의 주요 기술이 보호무역으로 인해 타격받기 시작하고 있다. 강대국 속에서 점점 피해를 입게 되는 위치이다.
이런 상황 속에서 우리나라의 부동산 시세가 평온하게 오를 수 있을 것인가...?
끝으로 전반적으로 시장은 예측 불가능할 수 있다는 점을 명심하는 것이 중요하며, 투자 포트폴리오를 다양화하고 리스크를 관리하는 것이 항상 좋은 방법이다. 추후 벼락거지 탈출기 편에서 지금 시기에 중요한 포트폴리오 만들기를 포스팅할 예정이오니 꼭 팔로우해주기를 바란다. 그리고 지금부터는 정부정책 등 각종 이벤트들이 경제 방향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더 넓은 경제적, 정치적 이벤트를 주시하는 것도 중요하다. 그것 또한 본 블로그에서 다룰 예정이다. 많은 관심 부탁드리겠다.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동산 시장 분위기가 돌아서고 있나? 확인해야 될 정보는? (0) | 2023.07.04 |
---|---|
부동산 거래가 말라가고 있습니다. 앞으로 부동산 이렇게 될 수 밖에 없습니다. (0) | 2023.04.07 |
집값전망, 너무 암울합니다. 계속 금리인상 하는데 어떻게 해야될까요? (0) | 2022.10.21 |
2022년 달라지는 부동산 제도! 핵심요약 간단하게 알아보자 (0) | 2021.12.21 |
2022년 이후 부동산전망은? 향후 집값이 오를 가능성이 큰 지역 TOP 4! (0) | 2021.11.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