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들어서 계속해서 글로벌 증시 폭락에 대해서만 포스팅하는 것 같다. 경제 블로그로써 계속해서 주가 폭락에 대한 압박이 느껴지는 것 같은데 코스피가 1.8%, 유럽은 2%, 우리들의 대장 미국도 1.7% 씩 빠지면서 전 세계 패닉, 글로벌 증시 쇼크로 이어지고 있다. 비트코인을 필두로 코인시장은 무서울 정도로 큰 폭으로 떨어지고 있다. 이제 버블 붕괴의 시작인 것인가? 왜 이런 것인지 간단하게 알아보자.
1. 중국발 쇼크
중국은 최근 기준금리 인하를 하였다. 3.85%에서 3.8% 까지 내렸다. 기준금리 인하폭은 크지가 않는데 중국의 기준금리인하는 글로벌 위기의 시작으로 보는 경우가 많다. 글로벌 시장에서 중국의 위치는 생산자에서 소비자로 바뀐지 오래되었는데 그런 소비시장에서 경제가 어려워져서 돈을 푸는 정책인 금리인하로 가는 것이 아니냐라는 것이다.
실제로 하이퍼 인플레이션을 예고하고 있는 이 때, 대장인 미국을 필두로 유동성을 축소하고 있는 입장인데 중국에서는 그 반대로 금리인하를 하였다. 헝다 사태를 비롯하여 중국 내 기업들 상황이 안 좋다는 것을 뜻한다고 할 수 있다. 중국 내 부채 부담은 정말 크다는 것을 뜻한다. 잘 못하다가는 중국발 스태그플레이션도 충분히 일어날 수 있는 일인 것 같다. 터키도 악재의 악재가 겹쳐서 최근 거듭하여 기준금리를 인하하고 있다.
이런 쇼크 속에서도 반드시 투자의 기회를 찾아야한다. 중국발 쇼크가 온다면 가장 큰 위기를 맞는 국가를 생각해보자. 바로 중국에 원자재 수출을 많이 하는 국가이다. 그것은 바로 브라질이다. 브라질은 대통령발 정책 위기, 잘못된 복지정책으로 인한 재정 위기, 심지어 세법이 복잡하여 세수확보도 쉽지 않은 곳이다. 중국 쇼크가 이어진다면 브라질은 무너질 수 있다.
필자는 ProETF Ultrashort MSCI Brazil Capped (티커: BZQ)에 포지션을 두고 있다. 브라질 레버러지 3배 숏이다. 당연히 엄청나게 위험한 상품으로 투자에 주의를 바란다.
2. 코로나 변이 재확산
코로나 너무 지긋지긋한 이름이다. 전혀 상관없는 코로나 맥주를 앞으로 먹지 않을 결심까지 들었다. 이 번에는 오미크론 변이다. 처음에는 전염성만 강할 뿐 위험도는 기존의 코로나 바이러스보다 훨씬 낫다고는 했지만 실상은 그렇지 않았다. 부스터 백신이 필수가 되어버렸고 각국에서는 다시 봉쇄하기 시작하였다.
인내심의 붕괴와 더불어 사회체제는 조금씩 무너지고 있는 것을 느낀다. 빈부격차의 초극대화가 계속해서 가속화하고 있고 대다수를 이루고 있는 소시민들, 특히 자영업자가 가장 먼저 무너지고 있다. 자영업자들이 오직 자신의 돈으로 장사를 하는 사람이 몇 명이 되겠는가? 가계빚인데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처럼 연쇄반응은 일어나지 않겠지만 예전 1930년대공항처럼 엄청난 불경기를 야기시킬 수 있다.
앞으로 코로나 전파상황과 치료제 개발 상황을 두고 봐야하겠지만 장기화될 가능성이 크다고 생각한다면 한순간 경제 패닉이 올 수 있다는 것을 명심해야 될 것 같다.
여기에서 투자 아이디어는 예전에 포스팅 한 바이오 주이다. 이 전 포스팅을 참고하길 바란다.
제2의 테슬라 찾기 프로젝트! 장기투자에 적합한 종목은? (feat. 징코바이오웍스, 체르타라)
제2의 테슬라 찾기 프로젝트! 장기투자에 적합한 종목은? (feat. 징코바이오웍스, 체르타라)
벼락 거지 탈출기 프로젝트 중 하나로 제2의 테슬라를 찾는 포스팅이다. 최근 천 슬라를 넘어서 테슬라는 또 한 번 도약을 하고 있는데 향후에도 장기투자했을 때 이 정도로 상승하는 종목이 있
officewiki7.tistory.com
3. 미국의 애매한 상황
이 지구에서 가장 전 세계로 큰 영향을 줄 수 있는 나라라고 한다면 바로 미국이다. 그만큼 경제적으로 미국의 상황이 앞으로 전세계 경제에 큰 영향을 줄 수가 있다는 것인데 지금 미국 상황이 어떤가? 바이든 대통령의 경기부양책은 의회에서 부결되었다. 양적완화의 장기화로 상상도 할 수 없는 빚을 가지고 있어서 경기부양책에 제한이 걸려버린 것이다.
그 외의 상황은 어떤가? 라이벌인 중국과의 무역전쟁은 여전히 이어지고 있으며 자산의 폭등과 더불어 하이퍼 인플레이션을 준비해야 한다. 보통 물가가 상승하게 되면 관련 물품에 대해서 관세를 인하는 경우가 많은데 대부분이 중국산 수입품이다. 관세 인하는 할 수도 없고 오직 금리인하와 같은 유동성 축소로 물가를 잡을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러시아는 어떤가? 러시아는 우크라이나와의 전쟁을 준비하고 있다. 전 세계 경찰을 자처하는 미국이 어떻게 대응할지도 큰 관심사이다. 심지어 우크라이나는 27년 전 핵탄두 포기 조건으로 미국으로부터 안전을 보장받았었지만 지금에 와서는 어떻게 될지 모르는 일이다. 미국의 국방에 대한 자존심과 세계 경찰이라는 자부심이 있다면 이 전쟁에 미국이 어떻게든 가담할 가능성도 있다. 만약에 가담한다면 재수 없으면 3차 세계대전이며 운 좋으면 21세기 냉전일 것이다.
여기서 투자 아이디어를 생각해보겠다. 솔직히 미국은 숏을 치지는 못하겠다. 경기방어주 코카콜라나 펩시코 같은 글로벌 하면서 안정적인 수익을 내는 경기방어주를 공략하는 것이 좋을 것 같다. 상승장에서 많이 소외되었던 통신주 같은 것도 매수하기 좋은 기회인 것 같다.
그럼 여기까지 글로벌 증시 폭락하는 이유 3가지에 대해서 알아봤으며 어려운 장을 우리 모두 잘 헤쳐나갔으면 좋겠다. 특히 필자의 포스트를 꾸준히 봐주는 구독자는 위험을 최소화하고 어려운 장에서도 투자 아이디어를 얻어서 수익을 낼 수 있다면 더 바랄 것이 없을 것 같다.
해당 포스트는 매수, 매도의 추천이 아닌 참고사항이며 모든 투자의 책임은 투자자에게 있음을 알립니다.
'벼락거지 탈출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플레 시대, 나만의 자산관리 전략은? - 인플레이션 높을 때 투자법 (0) | 2022.12.24 |
---|---|
인플레이션 고금리 시대인 지금 어떻게 투자해야 될까? (feat. 채권 투자, 예적금 풍차돌리기) (0) | 2022.10.19 |
코로나 변이바이러스 재유행! 투자자에게 기회가 될 것인가? 독이 될 것인가? (0) | 2021.11.28 |
코인이 이제 실생활로 들어오게 되다?! NFT 열풍인 시대 (Feat. NFT 관련주, NFT 관련 코인) (1) | 2021.11.24 |
아무런 생각없이 무지성 장기투자 하는 ETF 주식 포트폴리오. 조기은퇴도 가능?! (aka. 파이어족) (0) | 2021.11.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