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미국 연방준비제도가 0.5% 금리 인하를 발표함.
2. 금리 인하로 인해 주택 대출 이자가 낮아짐.
3. 낮아진 이자율로 인해 주택 구매자들의 대출 접근성이 향상됨.
4. 주택 구매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
5. 주택 가격 상승 가능성이 커짐.
6. 가처분 소득이 늘어나 소비가 촉진될 가능성이 있음.
(대출이자가 줄어든 만큼 여유가 생김)
7. 증가한 소비로 인한 경제 활동이 활성화될 수 있음.
8. 하지만, 소비 증가로 인해 인플레이션 압력이 발생할 우려가 있음.
(원자재붐 다시 올지도 금포지션은 가지고 있자 꼭)
9. 기업들은 자금 조달 비용이 줄어 고용 확대와 투자를 촉진할 수 있음.
10. 주식 시장은 금리 인하로 인해 투자 매력이 상승해 주가 상승이 예상됨.
11. 다만, 금리 인하로 인해 채권 시장의 수익률은 하락할 가능성이 있음.
(채권 가격은 오른다. 어떻게 될진 모르겠지만 한동안 채권 주식 둘다 내린만큼 동시에 오를 가능성도 있음)
12. 저축 계좌와 예금 이자율도 낮아져, 소비자들이 자산 배분을 재고할 필요가 있음.
13. 투자자들은 위험 분산을 위해 포트폴리오 다각화를 고려해야 함.
(영구포트폴리오 : 주식 : 채권 : 금 : 현금 (단기채권) 1:1:1:1 이다. 어렵다면 이걸로 ㄱ)
14. 기업은 금리 인하를 기회로 삼아 신규 프로젝트와 인프라 투자를 늘릴 가능성이 있음.
(또차전지 또AI 가능성 크긴할듯..아님 반도체나 조선주도 좋게 보이긴 하다)
15. 그러나, 장기적인 인플레이션 상승에 대비해야 할 필요가 있음.
(금리가 내리면 돈의가치는 떨어지면서 물품의 가격이 오른다... 그냥 편하게 받아들이자)
16. 소비자들은 재정 관리에서 비상금 확보와 필수 지출 관리를 강화해야 함.
17. 에너지 절약과 비용 절감을 통해 가계와 기업 모두 지출을 최적화할 필요가 있음.
18. 부동산 시장에서는 투자 수익률을 신중히 평가해 장기적 전략을 마련해야 함.
(다시 꼬마빌딩, 빌라, 오피스텔, 지산 등 거래량이 들어올려나?)
19. 글로벌 시장에서 미국 금리 인하로 달러화가 약세를 보일 가능성이 있음.
(단 미국 따라 금리인하 하기전까지만이다...분명 다들 내릴것이다..그게 미국이니깐)
20. 이에 따라 원자재 가격이 상승할 수 있으며, 수출입 기업들이 환율 변동에 대비해야 함.
(지인중에 무역업을 하는데...환헷지를 안하고 있어서 걱정되긴함..)
도움이 되었다면 좋아요 구독 부탁
'벼락거지 탈출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과 유럽의 중국 전기차 관세, 소비자에게 미치는 영향은? (0) | 2024.07.04 |
---|---|
미국 장기채 폭락과 중국의 부동산 악재, 2024년 하반기 경제전망을 살펴보자. (feat. 과연 스태그플레이션이 올까?) (0) | 2023.08.10 |
달러 투자가 매력적인 이유, 심지어 손해 날 이유가 없다 (feat. 달러 투자 방법) (2) | 2023.07.24 |
미달러가 폭락중입니다. 달러인덱스 하락으로 떠오르는 투자 기회 ?! (0) | 2023.07.17 |
2차전지, AI 관련 테마주를 조심해야 되는 이유 (feat. 워렌버핏의 생각) (0) | 2023.07.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