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제가 2차 전지와 AI 주식을 왜 사지 않는지 이야기하려고 합니다. 제목이 어그로 같아도 사실 저는 이 두 분야의 주식에 투자할 생각이 없습니다. 저는 이 주식들이 왜 장기 투자에 적합하지 않다고 생각하는지 설명드리겠습니다.
먼저 2차 전지와 AI 주식의 문제점을 장기 투자 관점에서 분석해 보겠습니다. 이들 주식들을 반대하는 이유를 설명하기 전에, 워런 버핏의 책 '스노볼'을 근거로 예시를 들겠습니다. 제가 이 책을 읽으면서 인터넷 버블 시대의 이야기를 접했습니다. 1999년도에는 인터넷 버블이 커서 인터넷으로 돈을 벌어다리던 사람들이 많았습니다.
하지만 인터넷 버블이 어마어마할 때였기 때문에, 실제로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고점을 잡고 투자 손실에 휩쓸렸습니다. 이러한 과거 경험들과 연관 지어 생각해 볼 때, 현재의 2차 전지와 AI 테마주는 그저 미래가치를 당겨 받은 버블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장기적인 투자 관점에서 이들 주식이 얼마나 안정적인지 끊임없이 발전하고 실적을 내는지 짚고 가야 합니다. 그래서 저는 현재의 2차 전지와 AI 주식에 대해 신중하게 접근하고 있으며, 평소 워런 버핏의 투자 철학을 따르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사실 올해만 관련 테마가 12배 넘게 오르는 등 큰 기회를 놓쳤지만 그래도 지속 가능한 수익을 올릴 수 있는 다른 주식들에서 기회를 찾는 것이 장기적인 투자관점에서 현명한 선택으로 보입니다.
워런 버핏은 혁신에 투자하는 사람들이 일반적으로 보상을 받지 못했다고 언급했습니다. 이는 인터넷 신용 업계의 성장에 대한 언급이었고, 이러한 혁신 산업에서는 후행 투자자들이 성공을 거두지 못했을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버핏은 20세기 초반의 혁신 산업에 대해 이야기하면서 자동차 산업을 언급했습니다. 그 당시 미국에는 2,000개 이상의 자동차 회사가 있었지만, 그중에서 생존한 회사는 99년 기준으로 3개뿐이었습니다. 이 세 회사는 제너럴 모터스, 포드, 그리고 크라이슬러였습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이 회사들도 큰 시련을 겪었습니다. GM은 2009년에 파산하였고, 크라이슬러는 독일의 벤츠를 만드는 다임러에게 팔렸으나 다임러가 크라이슬러를 평가하지 않고 버렸습니다. 이후 크라이슬러는 피아트에 팔려 재기를 거두었습니다. 하지만 피아트는 평판이 좋지 않았고, 독일 사람들은 피아트를 부정적으로 평가하였죠.
버핏은 또한 이 세 회사의 주가가 종종 매우 낮아져서 투자한 돈보다 가치가 떨어지는 경우가 많았다고 강조했습니다. 자동차 산업은 미국에 큰 영향을 미쳤지만, 투자자들에게는 슬픈 추억만 남게 되었다는 것을 말씀하셨습니다. 역시 투자는 타이밍이라는 걸 몸소 이야기한 것이죠. 저 당시에만 해도 자동차회사는 혁신이었는데 말입니다.
워런 버핏은 항공산업을 두 번째 사례로 언급하면서, 1919년부터 1939년까지 미국의 항공사가 200개 이상이었음에도 불구하고 100년 동안 항공산업의 전체 투자 수익률이 0 이하였다고 말했습니다. 이는 항공사 주식에 투자한 사람들이 100년 동안 손해를 보거나 아무런 수익을 얻지 못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버핏은 현대 자본가들을 위해 시간을 되돌릴 수 있다면, 라이트 형제를 쏴 죽일 정도로 항공산업에 대한 투자의 위험성을 강조했습니다. 이 말은 그 당시에 항공산업이 혁신적이고 매력적인 산업이었지만 실제로는 많은 회사들이 파산하고 망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버핏은 항공사의 파산 사례를 예로 들어 최근 20년 동안 미국 항공사들의 파산 명단을 제시했습니다. 이를 통해 항공산업에서의 실패와 파산이 지속되고 있다는 점을 강조했습니다. 실제로 최근 50년 동안의 명단을 보면 압도적으로 수익을 주는 케이스는 흔치 않았다고 언급하였습니다.
버핏은 이를 통해 혁신적이고 힙한 산업에 대한 주식 투자는 사람들에게 환상을 자아내지만 현실은 그렇지 않다고 강조했습니다. 자동차와 항공산업은 과거에 이미 실패한 산업이라는 점을 기억해야 한다는 메시지를 전달했습니다. 이에 대해 인터넷 인플루언서들이 워런 버핏의 이런 발언에 대해 비판적인 반응을 보일 수 있지만, 그는 사실 레전드이잖아요? 수십 년간 성과를 보여준 레전드 오브 레전드인데 누굴 믿어야 할지 뻔한 결과 아닐까요?
요약정리
- 2차 전지와 AI는 우리의 인생을 완전히 변화시킬 것이라는 확신이 있습니다. 이들 기술의 영향력은 상당히 크다고 봅니다.
- 기업들 중에서 2차 전지와 AI에 대한 승자를 예측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입니다. 예전에는 수많은 자동차 기업이 있었지만 현재는 소수의 기업만 살아남았습니다.
- 역사를 통해 볼 때, 장기적인 투자로 돈을 벌지 못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따라서 투자 역사를 공부하는 것은 중요합니다.
- 순이익과 매출이 실제로 증가하고 가격이 상승하는 기업에 중점적으로 투자하는 것이 좋습니다.
- 투자할 때는 매수 시점과 리스크 관리를 신중히 고려해야 합니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투자하되, 리스크를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혁신적인 기업은 대부분 망하고 소수의 기업만이 주류로 남게 됩니다. 따라서 투자할 기업을 선택할 때는 신중해야 합니다.
- 워런 버핏의 경험을 살펴보면, IT 기업에 투자한 후 애플 주식으로 상당한 이익을 얻었습니다. 이는 애플이 실적이 좋고 성장 가능성이 큰 기업이었기 때문입니다.
본 블로그는 매수, 매도의견이 아니며 투자자 손실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음을 알립니다.
'벼락거지 탈출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달러 투자가 매력적인 이유, 심지어 손해 날 이유가 없다 (feat. 달러 투자 방법) (2) | 2023.07.24 |
---|---|
미달러가 폭락중입니다. 달러인덱스 하락으로 떠오르는 투자 기회 ?! (0) | 2023.07.17 |
미국 디폴트: 경제적 대혼란의 시작?! - 상황 정리해봅시다 (0) | 2023.05.12 |
인플레 시대, 나만의 자산관리 전략은? - 인플레이션 높을 때 투자법 (0) | 2022.12.24 |
인플레이션 고금리 시대인 지금 어떻게 투자해야 될까? (feat. 채권 투자, 예적금 풍차돌리기) (0) | 2022.10.19 |
댓글